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은 혀의 최고점이 전설 모음과 중앙 모음 사이, 즉 근전설에 위치하고 입술이 둥글지 않은 비원순 모음이다. 음성 기호는 [ɪ]로 표기하며, 독일어 'bitte'(제발), 영어 'bit'(조금)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된다. 일부 언어에서는 긴장 모음 /i/와 이완 모음 /ɪ/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|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| |
|---|---|
| 음성학적 정보 | |
| IPA 기호 | ɪ |
| IPA 번호 | 319 |
| 10진수 | 618 |
| X-SAMPA | I |
| 키르셴바움 | I |
![]() | |
| 브라유 점자 | st |
| 다른 표기 | |
| Ɪ | 라틴 대문자 이 |
| ɪ | IPA 기호 이 |
| ɩ | 라틴 소문자 이 오메가 |
| 설명 | |
| 개요 |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(near-close near-front unrounded vowel)은 일부 음성 언어에서 사용되는 모음 소리다. 국제 음성 기호(IPA)에서는 해당 음성을 나타내는 기호는 ɪ이다. |
| 특징 | 모음의 높이는 근고모음이다. 즉 혀의 위치가 고모음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. 모음의 전후 위치는 근전설모음이다. 즉 혀의 위치가 전설모음과 중설모음의 사이라고 할 수 있다. 모음의 원순성은 비원순모음이다. 즉 입술을 둥글게 만들지 않는다. |
2. 특징
이 모음은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전설 모음과 중설 모음 사이, 즉 '근전설'에 위치한다. 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고 발음하는 비원순 모음이며, 혀의 높이는 고모음과 중고모음 사이인 '근고모음'이다.[1]
2. 1. 조음 위치
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전설 모음과 중설 모음 사이, 즉 '근전설'에 위치한다.2. 2. 원순성
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고 발음하는 비원순 모음이다.2. 3. 높이
혀의 높이는 '근고모음'으로, 고모음과 중고모음 사이에 위치한다.3. 언어별 예시
| 언어 | 단어 | IPA | 의미 | 비고 | ||||||||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아베나키어 | i's | [nɪs] | 둘 | 근접 [ɪ]와 폐쇄 [i] 사이에서 품질이 다양하다.[6][7][8] 아베나키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아프리칸스어 | meteraf | [ˈmɪ̞ˑtɐr] | 미터 | 근접-중간. 의 이음이형은 덜 강조된 단어와 다음절 단어의 강세 음절에 나타난다. 후자의 경우 이중 모음 실현 와 자유 변동한다. 아프리칸스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아랍어 | بِنْت|bint|rtl=yesar | [bɪnt] | 소녀 | 고전 아랍어의 에 해당한다. 또는 와 대조된다. 아랍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레바논 | بِرْكِة|birké|rtl=yesar | [bɪrke] | 수영장 | ||||||||||
| 버마어 | မြစ်/mracʻ | [mjɪʔ] | 뿌리 | 성문 파열음으로 닫히는 음절과 비음화될 때 의 이음이형. | |||||||||
| 중국어 상해 방언 | 一|ihwuu | [ɪ̞ʔ˥] | 하나 | 근접-중간; 닫힌 음절에서만 나타난다. 음성적으로 열린 음절에서만 나타나는 ()와 거의 동일하다. | |||||||||
| 체코어 보헤미아 | bylics | [ˈbɪlɪ] | 그들은 있었다 | 품질은 근접 근전설 및 근접 중간 전설 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. 모라비아 체코어에서는 근접 전설 에 해당한다. 체코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덴마크어 표준 | helda | [ˈhe̝ːˀl] | 전체 | 완전 전설; 폐쇄, 근접 및 근접 중간 전설 원순 모음과 대조된다. 보수적인 변종에서 발음되는 방식인 로 IPA에서 일반적으로 표기된다. IPA에서 로 표기된 덴마크어 모음은 단음 와 유사하게 발음된다. 덴마크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네덜란드어 표준 | bliknl | [blɪk] | 흘끗 봄 | 표준 북부 실현은 근접 이지만 표준 벨기에 실현은 근접 중간 로 묘사되기도 한다. 일부 지역 방언에는 기수 에 약간 더 가까운 모음이 있다. 네덜란드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영어 | 캘리포니아 | i't | [bɪ̞t] | 비트 | 근접 중간. 영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
| 일반 미국 영어 | |||||||||||||
| 강 하구 | [bɪʔt] | 완전 전설 , 근전설 또는 근접 중간 일 수 있으며, 다른 실현도 가능하다. | |||||||||||
| 표준 발음 | 젊은 화자에게는 근접 중간 , 나이든 화자에게는 근접 . | ||||||||||||
| 일반 호주 | [bɪ̟t] | 완전 전설; 근접 로도 묘사된다. 호주 영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||
| 내륙 북미 | [bɪt] | 품질은 근접 근전설 , 근접 중심 , 근접 중간 근전설 및 근접 중간 중심 사이에서 다양하다. | |||||||||||
| 필라델피아 | 높이는 근접 와 근접 중간 사이에서 다양하다. | ||||||||||||
| 웨일스 | Abercrave와 Port Talbot에서는 근접 , Cardiff에서는 근접 중간 . | ||||||||||||
| 뉴질랜드 | e'd | [be̝d] | 침대 | 품질은 근접 전설 , 근접 근전설 , 근접 중간 전설 및 근접 중간 근전설 사이에서 다양하다. IPA에서는 일반적으로 로 표기된다. 교양 있는 변종에서는 중간 이다. 뉴질랜드 영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일부 호주 화자 | 일반 호주에서는 근접 중간 이며, 일부 다른 화자에게는 더 낮을 수도 있다. 호주 영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|||
| 일부 남아프리카 화자 | 일부 일반 및 광범위한 화자가 사용한다. 광범위한 변종에서는 일반적으로 더 낮 이며, 일반 변종에서는 대신 근접 중간 가 될 수 있다. 일반적으로 IPA에서 로 표기된다. 남아프리카 영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|||
| 프랑스어 퀘벡 | petite프랑스어 | [pət͡sɪt] | 작은 | 닫힌 음절에서 의 이음이형. 퀘벡 프랑스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독일어 표준 | bittede | [ˈb̥ɪ̞tə] | 부디 | 근접 중간; 일부 화자에게는 만큼 높을 수 있다.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힌두스탄어 | इरादाhi/ارادہ|iraadaa|rtl=yesur | [ɪˈɾäːd̪ä] | 의도 | 힌두스탄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헝가리어 | viszhu | [vɪs] | 운반하다 | 일반적으로 IPA에서는 로 표기된다. 헝가리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아이슬란드어 | vinuris | [ˈʋɪ̞ːnʏ̞ɾ] | 친구 | 근접 중간.[5] 아이슬란드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카비예어 | kabɩyɛkbp | [kàbɪ̀jɛ̀] | 카비예 | -ATR 전설 모음. 카비예어 참조. | |||||||||
| 카자흐어 | бірkk/ı'r | [bɪ̞ɾ] | 하나 | 근접 중간. 카자흐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림부르크어 | hinli | [ɦɪ̞n] | 닭 | 근접 또는 근접 중간 , 방언에 따라 다르다. 예시 단어는 마스트리흐트 방언에서 가져온 것이다. | |||||||||
| 룩셈부르크어 | Beenlb | [be̝ːn] | 다리 | 완전 전설. 일반적으로 IPA에서는 로 표기된다. 룩셈부르크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말레이어 | eci'l | [kət͡ʃɪl] | 작은 | 종결 음절에서 의 이음이형. 화자에 따라 [] 또는 []일 수 있다. 말레이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노르웨이어 | littno | [lɪ̟tː] | 조금 | 예시 단어는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에서 가져온 것으로, 모음은 근접 전설 및 근접 전설 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.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포르투갈어 브라질 | /e//cine]] | [ˈsinɪ] | 영화관 | 강세가 없는 및 의 축소 및 중화. 무성음이 될 수 있다.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러시아어 | деревоru/ere'vo | [ˈdʲerʲɪvə] | 나무 | 후방성은 완전 전설과 근전설 사이에서 다양하다.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만 나타난다.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사테르란트 프리슬란트어 | /eː//Dee}} | [de̝ː] | 반죽 | 의 음성 실현. 전자의 경우 근접 전설 , 후자의 경우 근접 중간 근전설 . 음성적으로 후자는 ()와 거의 동일하다. | |||||||||
| 스코틀랜드 게일어 | /i//fios}} | [fɪs̪] | 정보 | 넓은 자음 앞과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 | [ˈunnɪ] | 어디 | 강세가 없는 /irimi' | [ˈpi̞ɾi̞mi̞] | 남자 | 완전 전설; 일반적으로 IPA에서는 | [s̪ɪ̟l̪ː] | 청어 | 품질은 근접 중간 전설 및 근접 전설 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.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. |
| 템네어 | i/pim}} | [pí̞m] | 고르다 | 완전 전설; 일반적으로 IPA에서는 /'y'rij | [ɪrij] | 이리 | 우크라이나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
| 웨일스어 | yny'dd | [mənɪð] | 산 | 웨일스어 음운론 참조. | |||||||||
| 요루바어 | ini' | [kĩi] | 무엇 | 완전 전설; 일반적으로 IPA에서는 일 수 있다. |
참조
[1]
문서
[2]
웹사이트
IPA Fonts: General Advice
https://www.internat[...]
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
2015
[3]
문서
[4]
문서
[5]
문서
[6]
웹사이트
Abenaki, Western
https://www.ethnolog[...]
2022-05-26
[7]
웹사이트
Numbers in Abenaki
https://omniglot.com[...]
2022-05-26
[8]
서적
A Historical Phonology of Abenaki
https://books.google[...]
Thesis (M.A.)--McGill University
1975
[9]
서적
Polyglot Italy: Languages, Dialects, Peoples
CIS Educational
[10]
서적
Сучасна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: Підручник / О.Д. Пономарів, В.В.Різун, Л.Ю.Шевченко та ін.; За ред. О.Д.пономарева. — 2-ге вид., перероб. —К.: Либідь, 2001. — с. 14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
